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- 긴급 생계급여
대상자
- 주소득원의 사망, 질병, 부상, 사고, 사업부도 · 파산 등으로 갑자기 생계유지가 어려운 경우
- 부 또는 모의 가출, 행방불명 등으로 갑자기 생계 유지가 어려운 경우
- 천재지변이나 화재 등으로 재산 ·소득 상의 손실이 발생하여 갑자기 생계유지가 어려운 경우
- 거주지 이회의 지역(노숙 ·공원 · 종교기관 등 주거지로 볼 수 없는 곳 포함)에서 거주하고 있으나 소득이 없어 생계 유지가 어려운 경우
- 기타 시장 ·군수 ·구청장이 긴급생계급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등
급여실시
- 거주지에서 신청한 경우: 거주지 관할 시장·군수·구청장이 실시
- 거주지 외의 지역에서 신청한 경우 : 실제 거주 지역을 관할하는 특별자치시장·특별자치도지사·시장·군수·구청장이 실시
급여액
2025년 긴급생계급여액 기준 | |||||||
가구 규모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 |
지급액 | 730,500원 | 1,250,000원 | 1,541,700원 | 1,872,700 원 | 2,186,500원 | 2,485,400원 |
* 7인 이상 1인 증가 시마다 289,700원씩 추가 *2021년 부터 긴급복지 생계지원 금액에 냉방비 포함
- 시장 ·군수 ·구청장이 긴급 생계급여를 실시 후 신청일로 부터 30일, 부득이한 경우 60일 이내 급여 실시 여부를 결정한 후, 긴급생계급여액과 실제 생계급여액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, 그 차이 금액을 추가로 지급함.
- 보장기관은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조사결과 긴급생계급여 대상자가 수급자가 아닌 것으로 판명된 경우와 긴급생계급여액이 실제 생계급여지급액보다 많은 경우 지급된 긴급생계급여액을 이미 소비하였거나 기타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반환면제(지방생활보장위원회 결정)한다
급여기간
- 긴급생계급여 기간은 1개월로 하되, 필요시 1월에 한해 연장 가능
급여 방법
- 생계비를 현금으로 지급, 단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 물품으로 지급
신청
- 거주지 읍 ·면 ·동 주민센터 또는 거주지 이외의 지역에서도 신청 가능
최종업데이트 : 2025-07-03 16:58:38
본문 내용을 워드파일(doc)로 다운로드 받기 :
카카오톡 1:1 상담 @복지뱅크(카톡에서 아이디 검색후 친구추가)